푸틴과 시진핑, SCO sidelines에서 중국-러시아 파트너십의 ‘안정성’을 환영

0
10

이 두 사람은 서방의 힘에 대항하여 중앙아시아 안보 정상회의를 창설했으며,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래로 관계를 강화해 왔습니다.

시진핑 푸틴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상하이 협력 기구(SCO) 정상회의 기간 중 회동을 갖고 악수하고 있다. [Sputnik/Sergei Guneev/Pool via Reuters]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은 두 나라가 서방의 힘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한 지역 안보 블록인 상하이 협력 기구(CSO)의 틈바구니에서 맺은 “파트너십”을 극찬했습니다.

수요일에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정상회담의 sidelines에서 푸틴과 시진핑은 모두 중앙아시아 국가와 인도, 이란, 그리고 가입 대기 중인 벨라루스를 포함한 그룹의 확대된 멤버십을 칭찬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중국-러시아 관계를 혼란스러운 시기에 안정을 주는 힘으로 계속 묘사했습니다.

푸틴은 SCO가 “공정한 다극 세계 질서의 핵심 기둥 중 하나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협력은 누구에게도 겨냥되지 않으며, 우리는 어떤 블록이나 동맹도 만들지 않고, 우리는 단지 우리 국민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시진핑과의 양자 회담에 앞서 텔레비전 연설에서 러시아 지도자는 모스크바와 베이징의 관계로 빠르게 전환했습니다. 그는 두 나라의 “포괄적 파트너십과 전략적 협력이 역사상 최고의 시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에 대해 “격동하는 국제 정세와 외부 환경”을 언급하며 러시아와 중국은 “앞으로도 세대를 거쳐 우정을 다지는 원래의 염원을 계속 고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푸틴을 “오랜 친구”라고 부르며 두 나라가 “양국 관계의 차기 발전을 위한 계획과 준비”를 세웠다고 말했습니다.

두 달 만에 두 번째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은 중국과 러시아가 모두 서방으로부터 지역 정책에 대한 압박을 계속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습니다. 베이징에서 열린 마지막 회담에서 두 정상은 유엔, G20, 북대서양 무역 기구(NATO)를 포함한 국제 기구와 블록을 은근히 비난하면서 관계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모두 합쳐서, 두 지도자는 약 40번 만났습니다. 여기에는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불과 며칠 전에 “무제한” 전략적 파트너십에 서명한 것도 포함됩니다.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은 중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점점 더 공격적으로 행동하고 있으며, 중국이 자국 섬이라고 주장하는 자치 섬인 대만에 대한 정책 때문에 중국을 거듭 비난해 왔습니다.

러시아는 서방 국가들의 잇따른 제재와 압박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를 계속 침공하면서 국제 무대에서 고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했습니다.

공유 광학

정상회담에서 푸틴은 또한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집트와 함께 정상회담에 참여한 옵서버 국가 중 하나인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터키는 모스크바와 긴밀한 무역 및 금융 관계를 맺은 NATO 회원국이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잠재적인 중재자로 자신을 내세웠습니다.

터키 대통령실은 에르도안이 푸틴에게 터키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합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먼저 휴전하고 그다음에는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어 “양측이 만족할 수 있는 공정한 평화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후 푸틴 대통령의 대변인은 에르도안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에서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러시아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에르도안이 그런 역할을 맡을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아니요, 불가능합니다”라고 답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러시아의 가까운 동맹국인 벨라루스도 목요일에 SCO에 공식적으로 가입할 예정이다. 벨라루스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곳 중 하나다.

카자흐스탄 국영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이 단체가 “세계에 대안적인 국제적 플랫폼, 서로 다른 권력의 중심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SCO가 2002년에 창립된 이래로 회원국들의 이해관계는 완강하게 엇갈려 왔습니다.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중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놓고 경쟁해 왔는데, 여기에는 구소련 공화국인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이 포함됩니다. 투르크메니스탄만이 SCO의 회원국이 아닙니다.

수십 년간 러시아의 영향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원이 풍부한 이 지역은 중국 정부의 주요 경제 및 무역 프로젝트의 핵심이 되어 왔습니다. 여기에는 중국으로의 글로벌 무역로를 강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일대일로’ 인프라 프로젝트도 포함됩니다.

런던 국제전략연구소의 러시아 및 유라시아 수석연구원인 나이젤 굴드-데이비스는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SCO가 “회원국 간에 상당한 안보적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 조직의 “주요 가치”는 비서방 국가들이 함께 모이는 모습에 있다고 말했습니다.